BMI 에 대해서 알아볼까?
BMI란 Bady Mass Index로 신장과 체중의 비율을 사용한 체중의 객관적인 지수(kg/m2)를 말합니다.
서양에선 이 지수가 30 이상이 비만이라고 합니다. 하지만 대한 비만학회에서 아시아-태평양 기준을 발표했으니, 아시아-태평양 비만진단기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. 따라서 우리나라에선 아시아-태평양비만진단 기준을 따라 23이상을 과체중, 25이상을 비만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.
[이하 네이버 지식백과]
신체질량지수(BMI)란 신장과 체중의 비율을 사용한 체중의 객관적인 지수로 일반적인 사람의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크다고 증명되었다. 세계보건기구(world health organization, WHO)의 비만 진단 기준에서는 BMI 30 kg/m2 이상을 비만이라고 하지만 이는 서양인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, 대한비만학회(2000)에서 발표한 아시아 태평양 비만 진단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(양명주, 2012).
아시아-태평양 비만진단기준(대한비만학회, 2000)
아시아-태평양 비만진단기준(대한비만학회, 2000) 분류 BMI(kg/m2)
저체중
<18.5
정상체중
18.5~22.9
과체중
23~24.9
비만 I
25~29.9
비만 II
30~39.9
심각한 비만 III
≥40
체지방은 인체에 있는 지방을 지칭하고 체지방량을 비율로 나타낸 것을 체지방률(percent body fat)이라 한다. 체지방은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으로 나눌 수 있는데, 평균적인 남자의 체지방률은 15-20%이고, 여성의 체지방률은 20-25%이다. 체지방률이 평균보다 높아지면 당뇨병, 고혈압,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성이 증가한다. 체지방률은 신체의 운동수행 능력과 개인의 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, 인체 내의 지방량이 어느 정도 비율로 구성되어 있느냐를 수량화하는 비만지수로 사용되고 있다(양명주, 2012).
체지방 범위(Gallaher et al., 2000)
체지방 범위(Gallaher et al., 2000) 분류 %BF
남성 여성
저체중
<8
<21
정상체중
8~19
21~32
과체중
20~24
33~38
비만
25≦
39≦
[네이버 지식백과] 신체질량지수 [body mass index] (심리학용어사전, 2014. 4, 한국심리학회)